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톡톡

백야와 극야란? 지구 자전축이 만든 낮과 밤의 비밀

by 알뜰스냅 2025. 8. 24.
반응형

백야와 극야: 지구의 축이 만들어낸 경이로운 빛과 어둠의 세계

백야와 극야 풍경을 나란히 표현한 이미지. 해가 지지 않는 북극의 여름과 어두운 겨울 밤의 오로라가 대조를 이룬다.
북극의 백야와 극야를 표현한 AI 이미지. 여름에는 해가 지지 않고, 겨울에는 끝없는 어둠 속에서 오로라가 빛난다.[출처: AI 생성 이미지]

백야와 극야란 무엇인가요?

백야(白夜, Midnight Sun)와 극야(極夜, Polar Night)는 극지방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자연 현상입니다. 백야는 여름철에 해가 지지 않고 밤에도 태양이 떠 있는 상태를, 극야는 겨울철에 해가 뜨지 않아 하루 종일 어두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두 현상은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지구의 운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백야는 주로 북극권(북위 66.5도 이상) 지역에서 관측되며, 대표적인 도시로는 노르웨이의 트롬쇠(Tromsø)가 있습니다. 반대로 극야는 같은 지역의 겨울철에 발생하며, 북극점이나 남극점에서는 무려 6개월 동안 해가 뜨지 않기도 합니다. 백야와 극야는 인간의 일상과 생물의 생태 주기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천문학적 현상입니다.

왜 백야와 극야는 극지방에서만 발생하나요?

지구는 자전하면서 동시에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중요한 점은, 지구의 자전축이 수직이 아니라 약 23.5도 기울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기울기는 사계절의 변화를 만들 뿐 아니라, 특정 지역에 지속적인 일조 또는 암흑을 만들어내는 요인이 됩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의 여름철(6월 즈음)에는 북극이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북극권 안에 있는 지역은 밤에도 해가 지지 않습니다. 이때 남극은 태양과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되어 하루 종일 태양이 뜨지 않는 극야를 겪게 됩니다. 지구가 공전하면서 태양을 향한 기울기가 바뀌기 때문에, 6개월 후에는 반대 상황이 됩니다.

 

이러한 자전축의 기울기와 지구의 공전 궤도는 극지방에만 백야와 극야가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적도 부근에서는 이런 극단적인 일조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백야나 극야 현상을 경험할 수 없습니다.

백야와 극야는 어디에서 관측할 수 있나요?

백야와 극야는 북위 66.5도 이상의 고위도 지역에서 주로 관측됩니다. 북극권에서는 6월 하순을 중심으로 백야가, 12월 하순을 중심으로 극야가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백야 관측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르웨이: 트롬쇠, 노르카프
  • 러시아: 무르만스크, 세베르로츠크
  • 핀란드: 로바니에미
  • 알래스카: 배로우(현재의 공식 명칭은 우트키아비크)
  • 캐나다 북부

남극권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지만, 사람이 상주하는 지역이 극히 적기 때문에 체감하는 인구는 많지 않습니다. 남극 과학기지에서는 6개월 동안 밤이나 낮이 지속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한편, 백야는 극지방 이외에서도 '시민 백야'라는 형태로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인데, 이곳은 북위 59도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가 진 후에도 어둠이 완전히 오지 않는 백야 유사 현상이 발생합니다.

백야와 극야는 인간과 자연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백야와 극야는 단순히 빛의 변화만이 아니라, 인간의 생체리듬과 생태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빛과 어둠의 주기에 따라 수면과 각성 리듬을 조절하는데, 이 주기가 무너질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 백야: 수면 장애, 불면증, 생체리듬 혼란, 집중력 저하
  • 극야: 계절성 우울증(SAD), 비타민 D 부족, 낮은 에너지 수준

따라서 백야가 지속되는 지역에서는 창문에 암막 커튼을 설치하거나, 수면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생활 습관이 필요합니다. 극야 기간 동안에는 인공광을 이용한 광치료(Light Therapy)를 사용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동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닙니다. 순록, 북극곰, 철새 등 극지방에 서식하는 동물들은 낮과 밤의 구분에 따라 이동, 번식, 사냥 활동을 조절하는데, 백야와 극야는 이들의 주기를 교란시킬 수 있습니다. 일부 종은 생리적 적응력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지만, 기후변화와 함께 이들 현상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더 연구가 필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구의 기울기가 만든 경이로운 자연 현상

백야와 극야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고, 우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자연의 경이로운 현상입니다. 단순한 관광 자원이나 신기한 기후 현상으로 보기보다, 이 현상은 지구의 운동 원리를 이해하고 생태계 및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과학 주제입니다.

지금도 백야의 햇살 아래서 잠 못 드는 북극의 마을이 있고, 극야 속에서 아침을 기다리는 남극의 연구기지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우리가 서 있는 이 푸른 행성의 복잡하고 정교한 움직임이 숨어 있습니다.


용어정리

용어 설명
백야 (Midnight Sun) 밤에도 태양이 지지 않고 하늘에 떠 있는 현상
극야 (Polar Night) 낮에도 태양이 뜨지 않아 계속 어두운 현상
자전축 기울기 지구의 회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해 23.5도 기울어진 상태
시민 백야 해는 졌지만 밤하늘이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는 현상
SAD (계절성 정동장애) 햇빛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증 형태

참고문헌 및 유용한 사이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