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진은 왜 생기고, 진도와 규모는 어떻게 다를까?

알뜰스냅 2025. 7. 25. 15:13

🌍 지진은 왜 생기고, 진도와 규모는 어떻게 다를까? – 한국은 정말 안전할까?

2025년 7월, 일본 토카라 열도 인근에서 수백 차례의 지진이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이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지 않아 큰 피해는 없었지만, “혹시 더 큰 지진의 전조가 아닐까?” 하는 불안은 일본 전역에 퍼졌다.
SNS에서는 만화 속 예언이 맞아떨어졌다는 소문까지 돌며, 해외 관광객들의 예약 취소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냉정하게 묻고 싶다.
지진은 왜 발생하는가? 진도와 규모는 어떻게 다르고, 우리는 정말 안전한가?

📌 지진은 왜 생길까?
지진은 지구 내부에 축적된 에너지가 갑작스럽게 방출되며 지반이 흔들리는 현상이다.
이 에너지는 지각판(plate)의 충돌, 마찰,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한계에 도달할 때 쏟아져 나온다.
이때 지하 암석층에 있는 단층이 파열되며 진동이 생기고, 이는 지표까지 전달되어 우리가 흔들림을 느끼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판 구조론(Plate Tectonics)이다.
지구 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판들은 연중 느리지만 꾸준히 움직인다.
예를 들어, 일본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해판이 만나는 지역에 위치해 있는데, 두 판이 충돌하며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지역을 우리는 흔히 **‘불의 고리(Ring of Fire)’**라고 부른다.

불의 고리

🔥 불의 고리란 무엇인가?
‘불의 고리(Ring of Fire)’는 약 40,000km에 달하는 말굽형 구조로,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지진 및 화산대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Ring_of_Fire?utm_source=chatgpt.com


전 세계 지진의 약 90%, **활화산의 약 75%**가 이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 https://education.nationalgeographic.org/resource/plate-tectonics-ring-fire/?utm_source=chatgpt.com

 

📌 진도와 규모, 뭐가 다를까?
지진 관련 뉴스를 보면 ‘규모 6.8’, ‘진도 5’와 같은 표현이 동시에 등장하곤 한다.
하지만 두 용어는 엄연히 다르다.

규모(Magnitude):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의 총량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리히터 규모(Mw), 모멘트 규모(Mm)가 있다. 지진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한 지표다.

예를 들어 규모 6.0과 7.0은 수치상 1 차이지만, 방출되는 에너지는 약 32배 차이가 난다.

진도(Intensity): 사람들이 실제로 느끼는 체감 진동의 정도다.
이는 지진 발생 위치, 깊이, 지형, 건축물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한 지진에서도 지역마다 진도는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는 기상청 진도계를 사용하고, 일본은 **JMA 진도(0~7단계)**를 사용한다.

즉, 규모는 지진의 ‘절대값’, **진도는 체감하는 ‘상대값’**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일까?
한반도는 비교적 지진 발생 빈도가 낮은 지역이지만, 완전한 지진 안전지대는 아니다.
우리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해 있지만, 판 경계에서 수백~수천 km 떨어진 지역에서도 **‘내륙 단층형 지진’**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 대표 사례

 ☞ 2016년 경주 지진: 규모 5.8, 당시 국내 지진계 측정 이래 최대 규모.

☞ 2017년 포항 지진: 규모 5.4, 진도 5 이상을 기록하며 건물 붕괴, 이재민 발생.
이 지진은 지열발전소 시추 작업과의 연관성이 지적되기도 했다.

또한, 우리나라에도 **활성 단층(과거 반복적으로 움직인 단층)**이 전국에 다수 분포한다.
대부분은 정밀 조사가 부족해 위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 지진에 대비하는 과학과 사회 시스템
일본처럼 지진에 자주 노출된 국가는 이미 조기경보 시스템(EEW), 내진 설계 기준 강화, 대피 매뉴얼 정비 등 사회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우리나라도 2017년 이후 법적 내진 설계 기준이 대폭 강화되었고, 기상청은 지진 조기경보 및 실시간 통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지진 대피 교육이나 건축물 내진 보강률은 낮은 편이다.
특히 2000년 이전에 지어진 건물은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생활 속 지진 대피 요령 숙지가 필요하다.


지진은 여전히 인류가 완벽히 예측하지 못하는 자연현상 중 하나다.
예언이나 소문이 아니라, 과학적 지식과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이해가 우리의 안전과 심리적 평안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진도와 규모의 차이를 알고, 우리 지역의 지질 구조를 이해하며, 대비 행동요령을 익히는 것. 그것이 지진에 맞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과학적 태도다.